정부에서 지원하는 각종 지원금이나 학자금 대출 등
여러 복지 정책에서 제일 중요한 건 결국
'내가 받을 수 있는가?' 라고 생각하는데요.
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원대상을 살펴보다보면
자주 볼 수 있는 단어가 있습니다.
중위소득 ~% 내외
중위소득 ~% 이하
바로 '중위소득' 인데요.
오늘은 복지 정책의 지원 대상을 결정하는
주요 기준 중 하나인 '중위소득'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목차
- 중위소득 뜻
- 중위소득이 필요한 이유
- 중위소득 조회, 계산, 확인 방법
- 2024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
중위소득 뜻
중위소득(기준 중위소득)이란,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뜻합니다.
간단히 말해서
우리나라 모든 가구의 월 소득(세전)을 배열했을 때,
정확히 가운데가 되는 값이 바로 '중위소득' 입니다.
* '개인' 이 아닌 '가구'가 기준인 점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.
중위소득이 필요한 이유
중위소득은 기초수급자, 학자금 대출 등
복지의 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예를 들면
생계급여 수급자는 '기준 중위소득의 30%'
의료급여 수급자는 '기준 중위소득의 40%'
가 선정 기준이 됩니다.
중위소득 조회, 계산, 확인 방법
그렇다면 내 중위소득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?
중위소득은 매년 8월 1일까지 보건복지부에서
다음 해의 중위소득을 발표하게 되어 있습니다. (위 이미지처럼요)
월 소득을 기준으로 확인하시면 되는데요,
개인이 아닌 '가구' 기준이기 때문에
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고 있는
모든 가족의 소득을 합산하여 확인하시면 됩니다.
예를 들어
우리집이 4인가구라면
중위소득(2025년 기준)은 6,097,773원이 되겠네요.
위 기준이 '중위소득 100%' 가 됩니다.
'중위소득의 30% 이하' 가 지원 기준인 복지 혜택을 받으려면
6,097,773 x 0.3 = 1,829,332
즉, 가구의 월 소득이 183만원 이하여야만 하는 거죠.
2024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
그렇다면 2024년, 올해의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될까요?
연도 |
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 7인가구 | 8인 이상 |
2024 | 2,228,445 | 3,682,609 | 4,714,657 | 5,729,913 | 6,695,735 | 7,618,369 | 8,514,994 | +896,625 |
8인 이상 가구부터는 1인당 896,625원이 추가됩니다.
9인 가구라면
8,514,994 + 896,625*2 = 10,308,224(원)
이 되겠죠?
오늘은 기준 중위소득의 뜻과 확인 방법,
2024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.
복지 정책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선정기준이니,
이번 기회에 알아두면 앞으로도 계속 도움이 되겠죠?
감사합니다.